재테크/주식 공부

[미국주식] 유틸리티 섹터 종목 비교(DUK, AEP, D)

pal-lang 2023. 7. 23. 20:58

앞에서 공부했듯이 저평가 섹터(= 유틸리티 섹터)에서 추가로 매수할 만한 종목을 찾아보고자 한다.

 

시가총액 순으로 나열하여 고점대비 하락률을 파악해보자.

 

그렇게 보면 저평가 종목이 보일 것이다.

 

자 그럼 오늘은 종목을 비교해보고 어떤 종목이 더 맘에 드는지 찾아보자!!

 


DUK, AEP와 D에 관심을 가진 된 이유?

유틸리티 섹터 내에서 시가총액 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넥스테라는 공부를 마쳤으니 유틸리티 섹터가 회복할 때, 더 많이 오를 수 있는 종목을 찾아보고자 한다.

 

유틸리티 섹터 시가총액 순 고점대비 하락률

 

NGG, AEP, D의 개요 및 기본정보

각 회사의 개요 및 정보를 정리해 보자.

 

1) 듀크에너지 (DUK)

전기유틸리티와 가스 유틸리티 두 부문으로 운영, 발전, 송전, 배전을 담당하고 천연가스 고객에게 천연가스 공급.

노스캐롤라이나 주에 본사.

섹터 : Utilities (유틸리티)

시가총액 : 73.04b$

PER : 19.42

배당수익률 : 4.33%

실적발표일 : 23.08.08

 

2) 아메리칸 일렉트릭 파워 (AEP)

소매, 도매로 판매할 발전, 송전, 배전 사업을 진행. 화력부터 친환경, 원자력을 통해 발전. 오하이오주 본사.

섹터 : Utilities (유틸리티)

시가총액 : 45.3b$

PER : 22.84

배당수익률 : 3.78%

실적발표일 : 23.07.27

 

3) 도미니언 에너지(D)

버지니아 부문은 발전, 배전, 송전을 담당하고 천연가스 팡매, 운송, 저장 유통 사업을 진행.

남부 캐롤라이나 부문도 동일 사업 진행. 버지니아주에 본사.

섹터 : Utilities (유틸리티)

시가총액 : 44.95b$

PER : 37.35 (Forward PER : 13.81)

배당수익률 : 4.96

실적발표일 : 23.08.04

 


각 종목의 매력과 허점 비교

유틸리티 섹터의 대장주(넥스테라 에너지)와 분배하여 투자할 종목을 찾는 중인 만큼,

 

이번에는 수익률 관점에서 가장 높은 수익을 가져올 종목을 찾아보고자 한다.

 

현재 PER 기준으로 가장 고평가 되어 보이는 종목은 도미니언 에너지이다.

 

우선 각 종목의 실적 예측부터 알아보자.

 

실적 예측

돌아오는 8월에 실적이 하락하는 종목은 듀크 에너지(DUK)와 도미니언 에너지(D)이다.

 

특히, 미니언 에너지(D)의 경우 예측 주당순이익은 0.98대비 50.7% 감소가 예정되어 있다.

 

나중에 주가를 확인하면 알 수 있지만, 많이 빠진 이유가 있던 것이다.


이제 각 종목의 성장률을 확인하기 위해 매출액과 순수익을 확인하자.

매출액, 순수익, 순수익률 확인

세 종목 모두 매출액의 경우 증가하고 있어 합격

 

하지만 순수익률에서 듀크에너지(DUK)와 도미니언 에너지(D)가 22년 대비 23년에 급감했다.

 

순수익률을 23년에도 유지한 종목은 아메리칸 일렉트릭 파워(AEP)이다.

 

23년 실적 기준 Net Profit Margin : D(5.25%) < DUK(8.50%) <  AEP(11.94%)


다음으로는 각 종목의 매출액성장률과 매출총이익률이다.

    (※ 순수익률과 매출총 이익률은 마지막에 용어 정리를 해 두었다)

 

1) 듀크에너지(DUK)

 

듀크에너지 (DUK)

 

2) 아메리칸 일렉트릭 파워(AEP)

아메리칸 일렉트릭 파워(AEP)

 

3) 도미니언 에너지(D)

도미니언 에너지(D)

 

[정리]

23년 실적 기준 Net Profit Margin : D(5.25%) < DUK(8.50%) <  AEP(11.94%)

23년 실적 기준 Revenue Growth : DUK(13.94%) < AEP(15.40%) < D(26.26%)

23년 실적 기준 Gross Margin       : AEP(63%) < DUK(64.06%) < D(67.98%)

 

결론적으로 매출 원가 대비 수익은 도미니언(D)가 좋았으며, 성장률도 도미니언(D)이 좋았다.

하지만 순수익률은 도미니언(D)가 제일 낮으며, 아메리칸 일렉트릭 파워(AEP)가 가장 높다.

 

즉, 도미니언은 현재 비용이 다른 회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나가는 중이다.


실적 관련해서는 분석이 마무리 되었으니 마지막으로 각 종목의 주가를 알아보자.

 

DUK 주가 차트

 

AEP 주가 차트

 

D 주가 차트

 

차트 기준으로 가장 많이 하락한 종목은 도미니언(D)이며, 

DUK와 AEP의 경우에는 최근에 상승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미니언도 섹터가 주목 받음에 따라 상승한다면, 큰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나 순수익률이 마음에 걸린다.

23년의 박스를 깰 때를 주시하고 있어야겠다.


※ 용어 정리

매출총이익률(Gross Profit Margin) : 매출원가를 초과한 수익의 비율, 회사가 판매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

순수익률(Net Profit Margin) : 총이익(수익-COGS)에서 운영 비용, 부채, 세금, 이자 기타 비용 모두 뺀 값.

 

Gross VS Net

 


세가지 종목의 매력 및 허점을 모두 알아보았다.

 

한번에 세 종목을 모두 비교하기엔 쉽지 않았고, 어떤 종목이 최고라고 명확히 정답을 낼 수 없었다.

 

종목마다 장단점이 다르기에 본인의 성향에 따라 선호하는 종목이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오늘은 동시에 여러 종목을 확인했다는 것에 만족하며 ㅎㅎ

 

마무리 하자.

 

투자는 본인의 선택이며, 그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끝!!

 


 

언제든 맞춤법/내용 관련 피드백 환영합니다!! ㅎㅎㅎ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모두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하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