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경제 이슈

[시장 현황] 엔화는 어디로 가는가_3

pal-lang 2024. 7. 5. 10:00

 

어제는 미국 금리인하 기대감이 생기면서

 

엔달러 환율 상승이 주춤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엔화의 가치는 엄청 낮은 상황이다.

 

저번 글을 통해 현황과 원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1) 엔저의 현황

https://galpang-jilpang.tistory.com/29

 

[시장 현황] 엔화는 어디로 가는가_1

최근에 시장이 전체적으로 주시하고 있는 수치가 있다. 바로 엔달러 환율이다.  어떤 부분이 시장에 부담을 주는지, 미래에 어떻게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 공부해보도록 하자. 시장 리셋 가

galpang-jilpang.tistory.com

 

 

2) 엔저의 원인

https://galpang-jilpang.tistory.com/30

 

[시장 현황] 엔화는 어디로 가는가_2

앞서 엔달러 현황과 요즘 많은 사람들이 엔저현상에 대해 얘기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다. https://galpang-jilpang.tistory.com/29 [시장 현황] 엔화는 어디로 가는가_1최근에 시장이 전체적으로 주시

galpang-jilpang.tistory.com

 

 

 

오늘은 마지막 글로 엔저현상을 분석하며,

 

일본 정부의 대응 시나리오와 그에 따른 우리의 자산을 지키기 위한 방안을 고민해보자!!

 


 

우선 엔저 현상을 반드시 막아야 할까?

 

통화의 가치가 낮아지는게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니다.

 

수출기업에게는 동일하게 달러로 들어오는 돈의 가치가 늘어나기 때문에

자연스레 매출액이 커지게 된다. (ex- 유튜버들의 월급을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자국민의 입장에서는 가만히 있었는데 거지가 되는 상황이다.

수입품의 가격이 계속 올라가기 때문이다.

 

수입에 대한 의존이 높을수록, 물가가 급격하게 상승하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이 지게 된다.

 

결국 심각한 통화가치 훼손은 정치권에 압박을 주기 때문에,

일본 정부도 엔저 현상을 해결하려 할 것이다.

 

아래의 기사에서 정부 지지율을 보면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144759.html

 

16.4%…일본 기시다 내각 지지율 ‘바닥 아래 바닥’

일본 집권 자민당이 ‘비자금 스캔들’ 여파로 2012년 재집권 이후 12년 만에 가장 낮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13일 일본 지지통신은 ‘6월 여론조사’(6월7∼10일 실시)에서 기시다 내각 지지율이 지

www.hani.co.kr

 

그럼 일본 정부는 어떻게 대응하려고 할 것인가?

 

일본 정부의 대응 시나리오를 수동적 → 적극적 방향으로 하나씩 나열해보자.

 

1) 미국 금리인하 기다리기 

 

일본 정부가 할 수 있는 가장 수동적인 방법은

 

'그냥 이 또한 지나가리'라고 생각하며 미국이 금리를 인하할 때 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기도메타)

 

결국 미국도 계속 고금리를 지속하지는 못할 것이기에,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게되면 미-일 국채 금리차이가 줄어들고,

 

따라서 엔저현상은 멈추게 될 것이다.

 

결국 정부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것과 동일한 말이며,

이는 계속 엔저현상이 심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 대응

      일본 정부가 바뀌길 기다려보고, 엔저 현상을 즐기며 여행을 잠시 다녀오자.

 

      끝까지 일본 정부가 아무것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엔화로 인한 손실을 버티지 못한 외국 자본들이 일본 내 자산을 정리할 것이며,

 

      이는 일본 경제의 붕괴의 서막이 될 것이다.

 

 

 

2) 외환시장에 달러로 개입

 

가장 쉽게 엔저현상을 막는 방법은 달러를 외환시장에 푸는 것이다.

 

엔화를 계속 매수함으로써 엔화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일본 정부와 일본 중앙은행이 가지고 있는 달러를 바로 외환시장에 투입하는 것이다.

 

바로 현재 진행하고 있는 방법이기도 하다.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146668.html

 

달러당 160엔, 37년 만에 최저치…85조 쏟아부어도 하락 못 막아

엔화 가치가 1달러당 160엔대를 넘기며 37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시장에서는 지난 4월 이후 두달 만에 다시 일본 정부와 일본은행의 외환시장 개입에 대한 경계감이 높아지고 있다. 27일

www.hani.co.kr

 

이는 임시방편의 해결책이며 지속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결국 정부든 일본 중앙은행이든 가지고 있는 외환보유액은 한정적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일시적으로 엔저현상이 약해지지만, 달러 투입이 마무리되자마자 바로 환율이 반등하는 모습이 보인다.

 

결국 엔화 가치하락이라는 큰 방향성을 바꿀 수는 없으며,

 

개입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엔저현상을 만들었다는 것을 보면, 해결책이 되지 못함이 확실하다.

 

▶ 대응

      엔저 현상의 큰 방향은 바뀔것이 없다.

 

      엔저 현상에 따라 원화도 같이 하락하는 성향이 있는 만큼, 투자할 안전자산에 대해 고민해보자.

 

 

 

3) 미국 국채 판매 

 

어떻게 보면 2번의 연장선의 대응 방안이다.

 

일본 정부와 중앙은행이 외환시장에 달러를 더 풀고싶은데,

 

외환보유액 중 달러(현금)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한정적이다.

 

외환보유고에서 가지고 있는 미국 국채를 판매 → 달러 확보하여

 

엔화를 방어하는데 사용하는 대응 방안이다.

▶ 대응

      여기서부터가 약간 미지의 영역이고, 이 글을 작성하게 된 원인이다.

      과연 이 상황이 오게되면 나는 무엇을 사야 내 자산을 방어할 수 있을까?

 

      미국 국채를 판매하게 되면 미국 국채의 금리는 더 올라가게 된다.

      결국 이는 미국-일본 금리차가 더 심해지는 결과를 불러오며,

      엔저현상은 더 심화될 것이다.

 

      그 뿐인가? 미국채의 금리가 상승하게 되면 주식시장에서도 자금이 이탈할 수 있다.

      안그래도 최고가에 있는 나스닥과 S&P500이라서,

      차익실현이 시작되면 무섭게 빠질 수 있다.

 

      그 상황에서 달러를 안전자산으로 계속 들고 있을 수 있을까?

      미국 정부의 부채도 높은 상황이라 높아진 금리에 대해 대응이 가능할 지 정확히 모르겠다.

 

      결국, 내가 생각한 그나마 안전자산은 금 이었다.

      엔저현상 때문에 원화 가치도 낮아지게 되면 원화를 들고 있으면 안된다.

      그럼 달러를 들고 있으면 될까?

      미국채 수익률 상승으로 인해 벌어질 일이 예상이 되지 않았다.

      (솔직히 달러를 걱정하는게 제정신은 아닌거 같긴 한데... 뭔가 보면 불안한걸~)

 

      디지털 금이라고 불리는 비트코인도 있으나, 내 눈에는 안전자산으로 보이지 않아 패스.

      결국 금 현물 ETF를 포트폴리오에 추가하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4) 기준  금리 인상

 

가장 깔끔한 해결방안이자,

 

일본 정부가 선택하기 가장 어려운 대응방안으로 보인다.

 

엔화의 가치가 낮아진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므로,

 

우리나라와 비슷한 수준의 금리까지만 상승시키면 엔화에 대한 방어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현재 우라나라 10년물 국채 금리 = 3.23[%]이고,

 

일본 10년물 국채 금리 = 1.10[%]으로 약 3배가 차이난다.

 

일본이 금리를 우리와 비슷한 수준으로 인상하게 되면 무슨 일이 발생할까?

 

대략 이런 상황이 아닐까?

 

일본 정부의 유지가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는 발생하지 않을 것 같아 패스.

 


 

오늘의 글을 마지막으로 엔저현상에 대한 분석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우리는 엔저현상의 현황, 원인, 대응 방안까지 확인해 보았으며,

 

어떤 일이 발생할 수 있을지 고민해 보았다.

 

모두가 이 문제를 바라보고 있기에, 큰 사건 없이 넘어갈 것으로 예상하지만

 

항상 광기는 예상할 수 없는 법.

 

스스로 생각해보고 대응해보도록 하자.

 

끝!!

 

투자는 본인의 선택이며, 그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언제든 맞춤법/내용 관련 피드백 환영합니다!!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