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현황] 엔화는 어디로 가는가_2
앞서 엔달러 현황과 요즘 많은 사람들이
엔저현상에 대해 얘기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다.
https://galpang-jilpang.tistory.com/29
[시장 현황] 엔화는 어디로 가는가_1
최근에 시장이 전체적으로 주시하고 있는 수치가 있다. 바로 엔달러 환율이다. 어떤 부분이 시장에 부담을 주는지, 미래에 어떻게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 공부해보도록 하자. 시장 리셋 가
galpang-jilpang.tistory.com
이번 글에선 엔저가 발생한 원인을 알아보고,
마지막 글에서 일본 정부가 어떻게 향후 대응해 나갈지 생각해보고자 한다.
▶ 원인
엔화의 가치가 저렇게 낮아지게 된 원인은 무엇일까?
시장에서는 크게 3가지 요소로 보고있다.
각각의 요소에 대해 한번 알아보자.
1) 일본과 미국과의 금리차이
우선 언제부터 엔화의 가치가 낮아지기 시작했는지 시점을 확인해보자.
2022년 중순에는 과연 무슨 일이 있었길래,
엔화의 가치가 저렇게 급격히 떨어지게 되었을까?
아마 시장에 관심이 없었더라도 뉴스에서 너무 자주 나와서 다들 알고 있는 이슈일 것이다.
현재까지도 영향이 이어지고 있으며 시장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결정이긴 하다.
바로 미국 중앙은행이 금리인상을 시작한 시기이다.
미국 기준금리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면서, 일본과 금리차이가 커지게 된다.
생각보다 미 연준의 물가를 잡겠다는 의지가 강해 정말 급격하게 금리인상을 단행한다. (0.25 → 5.50[%])
미국 기준금리(미국채 단기물 금리)가 상승하면서 미국채 장기물 금리도 상승하게 되었다.
하지만 일본은 여러가지 이유로 기준금리 인상을 미국에 맞춰하지 않았고,
이는 일본 국채 장기물 금리는 낮은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즉, 미국채 금리와 일본국채 금리의 괴리가 점점 커지면서 엔화가 약해지게 되었다.
(일본에서 돈을 빌리고, 미국 국채를 매수만 해도 금리차로 이득이 발생하는 상황)
현재까지 미국과 일본 국채 장기물의 금리 차이가 얼마나 발생했는지 확인해보자.
결국 수익을 더 주는 곳으로 돈은 쏠리는 법.
현재의 금리차이만 봐도 3.3%차이로 무시할만한 수익이 아니다.
결국 엔저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은 미국과 일본의 금리차이로 인해 발생한 것이다.
2) 정부 부채
위에서 설명했듯이 미국이 금리인상을 시작해 엔저현상이 심화되었다.
그럼 일본은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는가?
아니다, 일본은 엔저현상을 막을 수 있는 수단이 있었다.
바로 일본의 기준금리 인상이다.
일본이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기준금리만 인상했어도, 이렇게 심각한 엔저현상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다음으로 알아볼 것은 그럼 왜 일본은 미국에 맞춰 금리를 올리지 못했을까?
바로 이제까지 정부의 무제한적 양적완화를 통해 풀어놓은 돈 때문이다.
우선 GDP 대비 일본 정부의 부채를 확인해보자.
다른 나라와 비교해보면 얼마나 큰 부채를 지고있는지 알 수 있다.
일본은 다른 나라와 비교도 되지 않는 크기의 부채를 지고있는 상황이다.
해당 부채에 대한 이자만 해도 큰 부담일 것이다.
일본 정부는 이자로 정부 예산 중 얼마를 지불하고 있을까?
일본은 23년 기준 국채비용으로만 22%의 예산을 사용하고 있다.
국채 금리가 상승했음을 감안했을때, 24년에는 비중이 더 커졌을 것이다.
결국 많은 정부부채로 인해 금리를 인상하지 못했고, 엔저 현상이 점점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3) 헤지펀드의 공격
위의 두개의 원인들로 인해 엔화에 대한 약점이 잡힌 상황,
시장에서 이 상황을 가만히 보고 있을까?
아래의 기사를 통해 현재의 상황을 참고하자.
https://kr.investing.com/news/economy/article-93CH-1011596
엔화에 베팅하는 헤지펀드, 일본의 외환 정책을 압박하다 By Investing.com
엔화에 베팅하는 헤지펀드, 일본의 외환 정책을 압박하다
kr.investing.com
https://www.g-enews.com/article/Global-Biz/2024/05/202405100304128794da65389f94_1
헤지펀드, 엔화 재추락 예상 '역 녹아웃 콜 옵션'에 베팅 - 글로벌이코노믹
헤지펀드들이 엔화에 대한 공격을 재개하고 있다. 9일(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엔화 환율을 지키기 위한 일본 정부 개입이 의심되는 가운데 레버리지 펀드들은 달러-엔 환율이 다시 달
www.g-enews.com
금리 차이가 존재하나 금리인상을 하지 못하는 일본 정부의 포지션이 명확해지자,
헤지펀드들이 엔화 하락에 베팅을 하기 시작했다.
이도 저도 대응하지 못하는 상황을 통해 본인들의 이익을 올리려는 것.
일본정부는 헤지펀드에 대응하기 위해 구두개입과 달러를 외환시장에 풀어 대응하였으나,
근본적인 원인은 해결이 되지 않았고 지속적인 공격을 받고 있다.
이 공격으로 인해 엔화는 계속 지지선을 지키지 못하고 가치가 낮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과연 이 상황이 어떻게 끝날 것인가?
오늘의 글을 통해 엔저현상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의 글을 통해 일본 정부가 어떻게 대응 할 수 있는지 시나리오를 예측해보고,
시나리오에 맞춰 우리가 어떻게 우리의 자산을 지킬 수 있는지 고민해보고자 한다.
오늘은 여기까지!!
언제든 맞춤법/내용 관련 피드백 환영합니다!!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