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경제 이슈

[은행 이슈] 새마을금고 뱅크런? 부도?_3

pal-lang 2023. 7. 11. 23:16

새마을금고를 보다가...

 

어느새 부동산 공부를 하고있다 ㅋㅋㅋㅋ

 

저번에 못다룬 주제에 대해 마무리를 해 보자

 

또한 1번 주제를 마무리하고 2번 주제로 넘어가 보자!!

 

1번을 넘어 2번으로!!


부동산 데이터 분석

 

부동산 시장이 반등한다면 새마을금고의 위기는 쉽게 넘어갈 것으로 보인다.

 

저번에 확인했던 그래프의 경우 데이터가 너무 많기에 좀 단순화하자.

 

두번재 글 그래프
부동산가격지수 - 주택담보대출 이율
부동산가격지수 - 전세자금대출 이율

 

[데이터 정리]

 - 신규 주택담보대출(변동형) 이율은 최고점을 찍고 하락 중이지만,

    잔액기준의 주택담보대출(변동형)의 이율은 떨어지지 않았다.

 - 신규 전세자금대출 이율의 경우 떨어졌지만, 잔액기준의 전세자금대출 이율은 떨어지지 않았다.

 - 상승시에 수도권 가격이 더 많이 올랐으며, 떨어질 때도 많이 떨어지고 있다.

 

주택가격이 상승하기 위해서는, 매수자가 들어오기 쉬운 시장이어야 한다.

매수자의 경우 높은 가격지수 + 신규 주택담보대출 금리로 인해 진입이 어려워보인다.

아직 가격지수가 빠졌다고는 하나, 13년 이후 한번도 경험하지 못한 가격지수의 위치에 있다.

그나마 한가지 호재는 신규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고점을 찍고 내려왔다는 것 정도.

우리의 소득이 (현재 주택가격 * 대출금리)를 버틸 수 있는지 확인해봐야 할 듯 싶다.

 

유주택자도 변동형/고정형 주택담보대출에 따라 선택지가 갈릴 것 같다.

고정형 주택담보대출을 한 유주택자(줄여서 고정형 유주택자라 하자)의 경우 부담이 없겠지만,

변동형 주택담보대출을 한 유주택자(줄여서 변동형 유주택자라 하자)의 경우 이제야 대출금리 상승이 마무리되어 간다.

 

고정형 유주택자의 경우 금리와 관계없이 시장에 진입할 것이기에, 예측이 불가.

변동형 유주택자의 경우 대출금리로 인한 부담이 증가.

변동형임에도 불구하고 신기하게 매수시점의 주택 가격에 따라 대출액이 결정되기에, 매수 시점에 따라 부담이 결정된다.

(추가 데이터 필요 부분 : 변동형 주택담보대출과 고정형 주택담보대출의 비율 )

 

결국 20~21년에 주택을 구매한 자들이 버티지 못한다면 매물이 많이 나올 것이고,

그게 아니라면 한동안은 보합을 유지할 것 같다. (대출금리 약2.5 -> 4.8%, 92% 상승)

 

결국 뻔한 결론이 나와서 아쉽지만, 데이터를 직접 확인했다는데에 의의를 두자.

 

정리 : 내 예금기간(1년)동안은 보합 또는 하락 예상. (방구석 결론)

 

일단 이 정도에서 부동산 공부는 마무리!! - 데이터 기반으로 부동산 부분은 재분석 예정

 


1번은 마무리 된 것 같으니, 이제 2번으로 넘어가자.

 

새마을금고의 구조

 

이걸 보면서 진짜 특이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새마을금고의 경우 기존의 은행과 다르게, 개별금고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하나가 각각의 은행이라고 이해하면 편하다.

 

각 개별금고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만큼, 위험관리에 대한 부분도 각각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거 많이 보던 소린데....)

 

새마을금고의 공시 분석

 

원래는 각 공시를 분석하여 대출금 잔액이라던가, 데이터를 만들어 보고 싶었으나 최근 공시가 없기에 패스.

대신 수시공시에 뜬 내용들을 좀 확인해보고자 한다.

 

새마을금고 사이트 : https://www.kfcc.co.kr/gumgo/occasionaldisclosure.do

새마을금고 공시 확인

 

최근에 수시 공시에 

- 종합평가 3등급

- 자산건전성 부문 4등급

- 자본적정성부문 4등급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해 경영개선권고 조치에 취해진 개별금고들이 올라온다.

 

각 의미를 알아보도록 하자.

 

경영실태분석이란?

감사 또는 현지조사를 통해 종합/부문별 평가를 의미.

1~5등급으로 나뉘며 5등급일수록 나쁘다.

 

경영실태분석 - 수시공시의 경우 주로 부문별 또는 종합평가에서 3~5등급을 취급한다

 

경영개선권고란?

이번 수시공시에는 종합평가등급과 자본적정성 또는 자산건전성 낮은 등급 판정으로 인해 경영개선권고가 주어졌다.

경영개선 권고로, 아래와 같이 7가지 조치가 취해질 수 있는데 합병까지 존재한다.

 

경영개선권고 - 종합평가등급과 자본적정성/자산건전성 등급에 따라 경영개선권고를 받는다...

 

최종적으로 등급의 의미는 무슨 뜻일까?

 

 

이 부분이 제일 충격이었다.

 

생각보다 문구가 세다.... 외부자금이 필요하다라니, 중앙회의 존립에 영향을 줄 수 있음..?

 

    ***더 자세히 알고싶은 분은 아래의 파일을 참조!! (별표 4 : 경영실태평가 등급산정 방법 등)

        https://www.mois.go.kr/cmm/fms/FileDown.do?atchFileId=FILE_00078731wXQxLl8&fileSn=4 

 

23년 6월 1일부터 7월 6일까지 올라온 금고만 해도 총 17곳이 경영개선권고를 받았다.

 

총 금고수에 비하면 작은 수이긴 하지만, 걱정이 되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마지막으로 과거의 사례까지 확인하고, 나의 돈 지키기를 마무리해보도록 하자.


 

언제든 맞춤법/내용 관련 피드백 환영합니다!! ㅎㅎㅎ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모두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하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