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경제 이슈

[은행 이슈] 새마을금고 뱅크런? 부도?_2

pal-lang 2023. 7. 7. 20:04

내 돈을 지키기 위한 여정은 이제 시작이다.

(이놈의 나라는 왜케 뭐가 많은거야)

 

내 돈은 내가 지켜야지

 

모두 함께 여정을 떠나보자!! ㅎㅎㅎ

 

첫번째 글의 주제는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다음과 같다.

 

1번 주제로 가자


새마을금고의 위기는?

새마을금고가 연체율이 상승하고 투자했던 회사가 부도 위기를 맞으면서,

폐업을 진행하거나, 재정건전성이 악화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다른 새마을금고가 인수합병하고, 이자를 면제해주는 방식으로 해결책을 찾아보려 하지만,

기존 고객들의 불안감이 커져갔으며, 새마을금고에 대한 신뢰에 금이 가기 시작했다.

 

이는 대규모 예금 인출이 발생했고 결국 뱅크런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까지 올라왔다.

다행히도 글 작성을 시작했을 때와는 달리, 국가에서 적극적으로 대처 중이다.

 

위기의 이유는?

뉴스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부동산 PF(Project Financing)로 인한 연체율 급증이다.

부동산 경기가 좋지 않아 부동산 PF에 대출해 준 금액이 상환되지 않고, 악성 채권으로 돌아오고 있다.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에 대해 최대한 정확한 데이터를 찾기 위해 노력했으나,

모든 공시를 확인하여 데이터를 재생산하기에는 시간적 여유가 부족했다.

 

따라서 현재는 신문에서 공용되고 있는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하자.

오영환 의원실, 행정안전부 자료

(위의 데이터에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은 하나의 Data에 대해서는 평균으로 처리한 부분이 있다.)

 

부동산 PF 관련 연체율과 법인대출 연체율이 모두 증가하는데,

전체 연체율이 조금밖에 증가하지 않는게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지만, (기억 해두자!!)

 

우선 모든 연체율이 우상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식이나 우상향 좀)

 

행정안전부의 설명자료를 보자면, 6.49%(6월 14일 기준) ➝ 6.18%(6월 29일 기준)으로 지속적 감소 추세라는 발표는 있다.

 

진짜 믿어도 되는거겠지?

 


이이서, 뉴스에서 주로 연체율 증가의 원인이라고 꼽는 부동산 PF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부동산 PF 진행도 및 자본 비율

이번에 공부하면서 처음으로 알게되었는데

 

사업하는데 다 남 돈으로 하는거였구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래 그러니까 그리 막 지어대겠지

 

그냥 본PF 95%를 본 순간 너무 어지러웠다.... ㅋㅋㅋㅋㅋ

 

뱅크런이 발생할만 하구나...?

 

그리고 사업이 부동산 사업인 만큼 최소 1년에서 최장 5년이나 걸린다고 한다.

 

기사도 찾아볼 예정이지만, 부동산 PF 대출 연장이 안되는거로 아는데, 이제 시작이지 않을까 싶다.

 

그럼 이제 마지막 단계, 부동산 시장이 살아나야 부동산PF가 버틸텐데 과연...? 우리나라의 부동산 시장은?


부동산 시장 공부를 대략적으로만 해보자.

 

너무 자세히 들어갈 용기는 없으니, 단순히 대출이자와 집값의 상관관계 정도만 확인하고자 한다.

 

나의 1년짜리 예금 동안에 우리나라 집값은 반등이 될까?

 

반등이 되면 예금 안깨도 되는거잖아??

 

데이터를 한번 봐보자....

 

데이터 수집 욕심이 그득한 엑셀

데이터는 R-ONE 부동산통계뷰어와 ECOS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을 사용했다.

 

각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보고싶지만....

 

일단 오늘은 여기까지!!

 


 

언제든 맞춤법/내용 관련 피드백 환영합니다!! ㅎㅎㅎ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모두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하핳